일본은 1980년대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강국이었다. 기술력과 제조업, 자동차, 전자제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독보적인 성장으로 미국과 어깨를 견줄 수준이었다. 그러던 일본이 1990년대 초, 갑자기 멈춰서기 시작했다. 이후 30년간 장기 불황에 빠지게 된 일본, 흔히 '잃어버린 30년이라고도 불릴만한 세월이었다. 그간 일본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https://blog.kakaocdn.net/dn/bfEfOo/btsMd4CP7qk/kPx3svU1H0CbrrkAj8Lbi0/img.jpg)
1980년대 경제 호황을 누리던 일본은 부동산과 주식시장이 급격히 상승한다. 부동산 가격이 오름에 따라 개인과 기업은 대출까지 받아가며 부동산과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했고, 가격이 그에 따라 더욱 오르면서 거품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도쿄의 땅값은 말도 안되게 비싸졌고, 일본 황궁 부지의 가치가 미국 전체 부동산 가치와 맞먹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고 한다.
주가 역시 현실적인 기업가치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오르자, 정부는 이 거품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고, 상황은 급변했다. 오른 금리에 대출금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과 개인들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급락했고, 주가가 떨어진 기업들은 줄줄이 도산했고,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한 은행들은 부실화되기 시작했다.
이게 1990년대 초반부터고, 30년 동안 이어진 장기 경기침체인 것이다.
3. 또다른 문제, 디플레이션의 늪(물가 하락)
부동산 가격 거품 붕괴 이후, 또 다른 문제를 겪게 되는데 바로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이다. 가격이 싸지기 때문에 소비를 더 진작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가격 하락 → 추가가격하락 기대로 인한 소비 감소 → 가격 추가 하락으로 인한 기업이 수익 감소 → 임금 삭감, 고용율 저하 → 가계 소득 감소와 소비의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4. 회복이 어려운 이유 and 얻을 수 있는 교훈
경제를 살리기 위한 여러 대책들이 있었지만, 인구고령화와 장기간 경기침체와 불황으로 인한 투자와 혁신을 주저하는 분위기, 개혁보다는 안정을 추구하는데 집중을 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세계시장에서 도태되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 일본 정부는 디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금융정책을 펴고 있다고 하며, 기술력이 핵심인 반도체나 인공지능 AI, 로봇 등의 미래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여전히 고령화와 낮은 생산성, 혁신을 주저하고 안정을 추구하려는 사회적인 분위기는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보인다.
여기서 우리는 3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① 거품경제는 반드시 터진다 : 부동산과 주식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은 결국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국민 소득에 비해 무척이나 높은 수준까지 올라온 대한민국의 부동산 시장의 현주소를 생각해보면, 미래를 예상해볼 수 있다. 투자할 때 실수요와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거품 여부를 항상 고민해야 한다.
② 디플레이션을 경계해야 한다 : 경제는 일정한 인플레이션이 유지되어야 건강하다. 지나치게 물가가 낮아지는 상황은 장기 불황을 초래할 수 있다.
③ 미래 산업에 투자해야 한다 : 한 때 세계 최고였던 일본이 혁신을 주저하면서 뒤쳐졌듯이, 앞으로 유망한 산업에 대한 투자가 없이 부동산이나 주식같은 자산으로 부가 집중되는 것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이상 일본의 장기 경기침체 현상에 대한 원인과 그에 비춰 반성해 보아야 할 부분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다. 이런 거시적인 현상은 사람들의 의식의 변화로부터 출발을 해야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텐데, 결국은 한 번은 겪게 될 현상일지 이웃의 사례를 보고 현명하게 대처해나갈 수 있을지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개인의 차원에서는 어떠한 경제 불황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갖추도록 노력해나가는 것도 잊지 않아야겠다.
'상식 > 금융, 경제 관련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P와 GNP의 차이, 실질적인 사용 예 (0) | 2025.02.10 |
---|---|
토스뱅크 용도별로 만드는 나눠모으기 통장 비상금통장 (1) | 2024.03.15 |
하나은행 원큐 어플에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하기 (2) | 2024.03.08 |
[하나은행 퇴직금 지급받기] 하나은행 개인형 IRP 퇴직연금 해지 후기 (20)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