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프로그램으로 문서를 작성하며 카테고리를 작성할 때, 원문자를 활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기본적인 원문자를 호출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위의 사진처럼 자음인 'ㅇ'를 입력한 뒤 한자 버튼을 눌러서, 각 자음별로 할당된 특수문자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1~15까지의 숫자까지는 원문자로 호출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더 큰 숫자가 원문자로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럴 경우에는 Ctrl + F10을 호출하여 '유니코드 문자표' - '괄호 문자' 탭을 이용하면 1~20까지의 원문자를 호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정말로 더 큰 수, 100이 넘는 단위까지의 숫자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바로 입력 - 글자 겹치기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다.
겹쳐쓸 글자에 원문자 안에 넣고 싶은 숫자를 입력한 뒤, '넣기'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3자리수인 200을 적어보기로 했다.
원문자 안에 세자리 숫자가 들어간 결과값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방식으로 간단히 큰 숫자를 원문자로 만들 수 있다.
원문자를 만드는 방법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15 : 'ㅇ'입력 후 한자 버튼 눌러 특수문자 선택하기
1~20 : Ctrl + F10 눌러 문자표 입력 창에서 유니코드 문자표 - 괄호 문자 탭에서 숫자 선택하기
그 이상 숫자 : 입력 - 글자 겹치기 기능 사용하기
필요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원문자를 만드시면 된다.
이상 아래한글 HWP 프로그램에서 원문자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 포스팅이었기를 바란다. 끝.
'상식 > IT관련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HWP 아래한글에서 한 줄 전체 음영주기 단축키 (0) | 2025.01.28 |
---|---|
HWP 아래한글 맞춤법 오류 빨간줄 없애는 방법 (0) | 2025.01.27 |
신뢰하지 않는 기업용 개발자 문제 해결하기 (0) | 2022.06.03 |
아이폰 사용자들 꿀팁, 에어드랍 이용해서 한꺼번에 사진보내기 (0) | 2021.09.14 |
카카오톡 선물 환불받는 법 어렵지 않아 (0) | 2021.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