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의 연구분야는 크게 부동산의 실무적 분야와 이론적 분야로 나뉘는데, 실무적 분야는 또한 부동산 결정분야와 그 결정을 지원해주는 부동산 결정 지원분야로 나뉜다.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실무적 분야 | 이론적 분야 | |
부동산 결정분야 | 부동산결정 지원분야 | 부동산학의 기초분야 |
1. 부동산투자 2. 부동산금융 3. 부동산개발 4. 부동산정책 및 계획 |
1. 부동산마케팅 2. 부동산관리 3. 부동산평가 4. 부동산상담(컨설팅) 5. 부동산시장분석 |
1. 부동산의 특성 2. 부동산 관련법 3. 도시지역 4. 부동산시장 5. 부동산세금 6. 부동산수확 |
이게 은근히 헷갈리는 편이다. 이론적 분야는 부동산학의 기초분야를 다룬다고 하면서 부동산의 특성, 관련법, 도시지역, 부동산시장, 부동산세금, 부동산수확이란 걸 다룬다고 하는데, 세금은 뭔가 실무적 분야가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기도 하는 것이다. 잊지 않도록 외워둬야겠다. 두문자를 따서 외우는 게 나을까? 그것보다는 연상 암기로 외우는 게 좋을 것 같다.
실무적 분야 중 투자를 하고 금융을 하고, 개발을 하고, 정책을 과 계획을 세우고 집행하는 것에 대한 분야는 "부동산 결정분야"로 분류해 연구를 하고, 그 부동산 결정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마케팅을 한다거나 관리를 한다거나, 부동산의 가치에 대해 평가를 한다거나, 전문가가 컨설팅을 하고, 시장의 경향을 대략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대한 연구분야를 "부동산결정 지원분야"라고 나누는 것이란 말이다. 직관적으로는 헷갈리는 게 조금 있지만, 의미상 이해하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주의해야할 점인 부동산 세금, 수확이 실무분야인 부동산 결정분야가 아닌 부동산학의 기초분야로 나뉜다는 사실을 잊지 않도록 해야겠다.
PS. 교과서의 앞쪽의 주제에 대해서 다루려니 실무적이지 않은 관념적 내용이 좀 있는 것 같아 실무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다루기 위해서는 앞으로 진도와 관계없이 포스팅을 해야겠다. 끝.
'부동산 공부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조건 충족시키는 최대대출 가능금액 구하기(feat. DTI와 DSR 비교하기) (0) | 2020.11.11 |
---|---|
[부동산학 개론] 부동산의 자기자본수익률 쉽게 구하는 방법 (0) | 2020.09.01 |
부동산의 개념에 대해서 (0) | 2020.01.06 |
부동산학이란? - 부동산학의 개념 (0) | 2020.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