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역대 노벨상 최다 수상 국가는 미국이다. 대략적인 국가별 수상 숫자는 다음과 같다.
1. 미국 - 약 400명 이상
2. 영국 - 약 140명
3. 독일 - 약 110명
4. 프랑스 - 약 70명
5. 스웨덴 - 약 30명
미국이 압도적인 이유는 과학 분야(물리학, 화학, 생리의학상)에서 많은 수상자가 나오기 때문이다.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미국이 과학 연구와 대학 시스템을 세계적으로 선도하면서 노벨상 수상자를 꾸준히 배출했다.
■ 특이한 노벨상 관련 일화
1. 수상 거부한 노벨상
- 장폴 사르트르(문학상, 1964) : 프랑스 철학자인 장폴 사르트르는 모든 공식적인 상을 거부한다는 철학적 신념 때문에 노벨 문학상을 거절했다.
- 레둑토(평화상, 1973년) : 베트남 평화협상에 기여한 북베트남 정치인 레둑토는 "베트남에 아직 평화가 오지 않았다"며 수상을 거부했다.
2. 노벨상을 두번 받은 사람들
- 마리퀴리 : 물리학상(1903년), 화학상(1911년)
- 라이너스 폴링 : 화학상(1954년), 평화상(1962년)
특히 마리 퀴리는 남편 피에르 퀴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고, 이후 혼자서 화학상을 받아 노벨상을 두개 받은 유일한 여성으로 남아있다.
3. 수감 중 노벨상을 받은 사람
- 카를 폰 오시에츠키(평화상, 1935년) : 독일의 반나치 저널리스트였던 그는 히틀러 정권에 의해 강제수용소에 갇혀 있었는데,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나치는 그의 해외 출국을 막았고, 결국 감옥에서 사망했다.
4. 노벨상 때문에 국적을 바꾼 사람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물리학상, 1921년) : 독일 태생이었지만 나치 정권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고, 이후 미국 국적을 취득했다.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경제학상, 1974년) : 오스트리아 태생이었지만 영국으로 귀화했다.
바 노벨상 수상의 가장 흥미로운 일화중 하나로 "밥 딜런"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꼽지 않을 수가 없다.
밥 딜런은 201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노래 가사가 문학적 가치로 인정받은 최초의 사례였다. 노벨 위원회는 그를 수상자로 선정하며,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위대한 미국 노래 전통에서 새로운 시적 표현을 창조했다."
그런데 밥 딜런은 수상 발표 후 한동안 침묵하였다. 수일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연락조차 받지 않아 노벨위원회가 수상 의사가 있었는지조차 알 수 없었다고 한다.
결국 그는 몇 주 후에야 수상 사실을 인정했지만, 공식적인 인터뷰나 언급을 거의 하지 않았다.
스웨덴에서 열린 시상식에도 '다른 일정이 있다'는 이유로 참석하지 않았고, 대신 미국 대사관에서 열린 소규모 행사에서 나중에 메달을 수여받았다고 한다.
또한 노벨 문학상 수상자는 상금 수령을 위해 반드시 연설(노벨 강연)을 제출해야 하는데, 밥딜런은 마감 직전에야 녹음본을 제출했다고 한다. 그의 연설은 문학과 음악, 그리고 그의 영감을 준 문학 작품들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었으며, 많은 문학 평론가들에게도 큰 화제가 되었다.
왜 밥딜런은 문학상을 받았나?
밥딜런의 가사는 사회적 메시지와 시적 표현이 뛰어나며, 전통적인 문학 형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문학적 가치로 평가되었다. 그의 대표곡인 <Blowin' in the Wind>, <The Times They Are a-Changin'> 같은 곡은 시와 같은 언어적 깊이를 지니고 있어 많은 문학인과 대중에게 영향을 주었다.
밥 딜런의 수상은 "문학의 정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문학의 범위를 확장시킨 상징적인 사건으로 남아있다고 한다.
이상 역대 노벨상을 제일 많이 받은 국가 및 특이한 노벨상 관련 일화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끝.
'상식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과자가 취업제한되는 분야는? (1) | 2025.02.26 |
---|---|
기네스북의 기원 & 특이한 기네스북 기록 20선 (0) | 2025.02.24 |
저작권 위반 소송 협박 편지 or 메일을 받을 경우에는? (0) | 2025.02.23 |
편의점 캔맥주, 소주의 소비기한과 유통기한은 얼마나?(소비기한과 유통기한의 차이) (0) | 2025.02.21 |
공무원 급수별 직급 명칭(공무원 직렬별 직급체계 및 명칭), 특수직 공무원의 종류 (1)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