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많은 돈을 투자하거나, 전문적인 자격, 기술이 있다면 괜찮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업종을 창업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대다수의 자영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은 본인이 전문적인 지식이나 자격증을 갖고 있거나, 규모로 승부할 수 있을 정도로 창업에 투자할 엄청난 자본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그런 평범한 사람들도 일반 직장인으로서의 삶에서 발전의 한계점을 느끼고 본인의 일을 시작하려고 한다. 그럴 경우에 진입장벽이나 투자금은 적지만,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업종을 선택해서 창업을 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2025년도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대표적으로 어떤 직종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 단독 1인 콘텐츠 제작(블로그,유튜브, 쇼츠 등)
- 진입장벽 : 스마트폰 + 무료 편집툴이면 시작 가능
- 초기 투자금 : 0~30만원(마이크, 조명 정도)
- 수익 : 구독자/조회수 따라 월 500만원~1천만원 이상 가능
- 장점 : 무한 확장성, 수익구조 다양(광고, 협찬, 굿즈 등)
- 단점 : 초기 노출 어려움, 꾸준함 필수
- 노코드 웹사이트·커뮤니티 제작 및 운영
- 진입장벽 : 코딩 몰라도 가능(노션, 윅스, 카페24, 워드프레스 등)
- 초기 투자금 : 도메인 + 호스팅 포함 10만원 내외
- 수익 : 광고수익 + 제휴마케팅 → 월 300~2,000만원
- 장점 : 내가 만든 공간에 자산이 쌓임
- 단점 : 초반에 유입이 적고 SEO 지식이 필요
- 스마트 스토어 or 쿠팡파트너스 무재고 마케팅
- 진입장벽 : 재고없음, 제품 없어도 OK
- 초기 투자금 : 0~5만원(계정 만들고 광고 조금 돌릴 수도)
- 수익 : 상위셀러 월 수백~수천만원
- 장점 : 요즘은 리뷰형 블로그로도 연결이 가능함
- 단점 : 상품 리서치, 마케팅 등의 감각이 필요
- 전자책 or 강의 판매(지식콘텐츠 IP화)
- 진입장벽 : 경험만 있다면 누구나 가능
- 초기 투자금 : 0~10만원(캔바, 타이핑, 판매 플랫폼 이용료 정도)
- 수익 : 전자책 1권 잘 팔리면 월 100~1000만원 이상도 가능
- 장점 : 만들고 나면 자동화 수익구조
- 단점 : 콘텐츠의 퀄리티나 마케팅에 따라 천차만별
- AI 기반 목소리 또는 영상 대여형 콘텐츠 제작
- 진입장벽 : AI 기술 이해만 있으면 누구나 가능
- 초기 투자금 : AI툴 가입(무료 or 월 2~3만원 정도)
- 수익 : 기업 대상 B2B콘텐츠 제작, 홍보 영상 → 건당 10~200만원
- 장점 : 최신 트렌드, 경쟁 적음
- 단점 : 클라이언트 수주 필요
상황별 추천 업종 정리하자면,
상황
|
추천
|
집에서, 돈 거의 없이
|
블로그, 전자책, 스마트스토어
|
카메라 부담 없이
|
블로그+전자책 → 수익인증 콘텐츠
|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용
|
무자본 중개형(일자리 소개, B2B 매칭 등)
|
감각/센스 있다면
|
쇼츠, 리엘스, 굿즈 디자인 플랫폼
|
확장형 원한다면
|
커뮤니티 홈페이지 운영 + 수익화 구조
|
즉, 지식이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를 디지털자산화하여 자동 수익화를 하는 전략이 진입장벽과 투자금이 적지만 많은 돈을 벌 가능성이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진입장벽이 낮은만큼, 성공 가능성도 엄청 높지는 않다. 그렇지만, 자본도 적게 들고 진입장벽도 낮지만, 노력도 하지 않고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분야란 없다. 전문적인 지식, 자격증이 없더라도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충분히 성과를 낼 수 있는 영역들이니, 자본이 없이 뛰어들 분야를 찾고 있다면 긍정적으로 검토해보면 좋을 것 같다.
반응형
'생활정보 > 창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농사 수익구조, 규모에 따른 벼농사 수익 수준 (1) | 2025.04.19 |
---|---|
흥신소의 합법성, 탐정과 흥신소의 차이 (0) | 2025.04.18 |
상가 구할 때 무료 상권 분석 사이트 추천! (0) | 2025.03.08 |
스타벅스 불패신화의 비결 (0) | 2025.03.02 |
저가커피 매장 하루 매출 100만원 달성하는 법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