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창업정보

벼농사 수익구조, 규모에 따른 벼농사 수익 수준

[로일남] 2025. 4. 19. 11:37
반응형

농사를 짓자

 가장 정직하게 땀을 흘려서 노력한 만큼의 값진 돈을 벌어가는 직업, 바로 농부다. 정성스레 가꾼 농작물을 수확하여 발생하는 수익으로 생활을 하는 농부, 특히 벼농사를 짓는 경우 규모에 따라 어느 정도의 수익이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수익을 높이기 위한 방법, 현실적인 농가의 이야기를 살펴보도록 하자.

기준 설정(2024년 전국 평균 기준)

  • 평균 수확량 : 500kg(1,000평당, 즉 3,300㎡ 기준)
  • 쌀 가격 : 1kg당 약 2,200원
  • 직불금 : 공익직불금 약 100만원/ha(약 3,000평 기준)
  • 경영비(비료, 인건비, 농기계 연료 등) : 약 60~80만원/1,000평

규모별 벼농사 수익 추정(단순 계산)

농지 면적
수확량(kg)
매출(쌀 판매)
정부직불금
경영비
순수익(예상)
1,000평(약 3,300㎡)
500kg
약 110만 원
약 33만 원
약 70만 원
73만 원
3,000평(약 1ha)
1,500kg
약 330만 원
약 100만 원
약 210만 원
220만 원
1만 평(약 3.3ha)
5,000kg
약 1,100만 원
약 330만 원
약 700만 원
730만 원
3만 평(약 10ha)
15,000kg
약 3,300만 원
약 1,000만 원
약 2,000만 원
2,300만 원

※ 참고 :

  • 기계화 정도에 따라 인건비가 줄 수 있음
  • 논에 따라 수확량은 400~600kg/1,000평까지 다양함
  • 친환경 농법일 경우 직불금과 쌀 가격 모두 더 높아짐

수익을 높이기 위해서

  1. 직불금 적극 신청 : 소농 직불, 면적직불 등 세분화됨
  2. 도정 및 포장 후 직접 판매(브랜드화) : kg당 2,500~3,000원도 가능
  3. 친환경 인증 : 유기농 쌀은 일반 쌀 대비 30~50% 고가
  4. 기계화율 상승 : 인건비 절감
  5. 가을 외작물 도입 : 이모작으로 수익 보완

현실적인 농가 이야기

  • 1ha(3,000평) 논농사로 연 수익은 200~300만원 수준이라, 단순 벼농사만으로는 생계 유지가 어렵다.
  • 그래서 실제 농가들은 벼 + 채소, 벼 + 축산, 벼 + 체험농장 등으로 복합 경작을 많이 선택한다.

 너무나 많이 들었지만, 실제 젊은 층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이 많지 않아 생소할 수 있었던 벼농사의 수익구조와 개략적인 수익 수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귀농 귀촌 후 농사를 짓고 싶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다면, 벼농사의 현실적인 수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끝.

반응형